도쿄대학
한국인 유학생이 일본최고의 대학인 도쿄대학에 들어간다는 것은 하늘에 별따기처럼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물론 일본에서 초.중.고교를 나온 일본인들도 하늘에 별따기지만 도쿄대학의 학부에 유학생으로 들어가는 것은 더더욱 어렵다고 볼 수 있다. 우선 입학을 하려면 다음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우리나라 고등학교 졸업 후 도쿄대 입학시험을 볼 수있는 기회는 단 한번이다.도쿄대 유학생입시요강 학부과정을 보면 "자국의 고등학교를
졸업한지 만 1년이 지나지 않은 자"라고 되어 있는데 우리나라가 2월졸업이므로 시험을 칠 수 있는 기회는 졸업하고 바로 다음번 시험 뿐이다.
이는 일본의 양대 국립대인 도쿄대와 교토대만 그런 것이고, 그 외의 국립대나 와세다,게이오(일부학과는 당해년도 졸업생에 한함)등 명문사립대은
모두 나이 제한없이 몇 년이건 칠 수 있다. 어쨌건 졸업 직후 십개월 정도의 기간안에 도쿄대학입시를 위한 모든것을 준비해야한다. 참. 최근 연도
제한이 완화되어 졸업 후 5년으로 바뀌었다는 소문도 있기는 하다.
그럼 무엇을 준비해야 하느냐?
일반적인 일본의 사립대학은 (유학생의 학부입시의 경우) 고등학교성적+교장선생님의 추천서+일본문부성주최 일본어능력시험1-2급+대학자체 일본어시험 등 이다. 그런데 국립대학은- 일본의 경우 우리보다 훨씬국립대를 알아준다. 예를 들어 우리의 경우 경북대나 충남대보다 연대나 고대를 알아주는 반면 일본의 경우 도쿄대나 쿄토대는 당연하고 그 외의 국립대도 와세다,게이오,메이지등 사립 명문보다 더 들어가기가 어렵다- 앞의 조건 + 유학생시험 이라고 따로 영어,수학,세계사,화학,물리..등 등의 우리의 수능 같은 시험을 보아야 한다. 유학생 시험은 일본학생들의 수능인 센터시험의 약식시험인 셈이다.
또한 도쿄대의 경우 또 다시 자체시험이 있고 + 논술시험이 있다. 이 논술시험은 일본어와 제2외국어 2가지 언어로(한국학생이니까 일어+한국어면 ok)일본어사전 없이 상당히 장문의 글을 써야 한다. 여기서 합격하면 이번엔 면접시험이 있는데 그냥 면접이 아닌 구술시험이다. 즉 여기서도 많이 떨어진다. 그리고 여기서 살아남으면 합격이다.
지금까지 설명한 것은 모두 외국인이 도쿄대 학부를 입학하는 경우의 과정입니다만 여기서의 외국인이란 일본이 아닌 외국에서 12년(초,중,고)의 과정을 모두 마친 사람 또는 그와 동등한 자격을 가진 사람이다.즉 한국사람이지만 일본에서 1년이라도 살았던 사람은 해당이 안된다.
더욱이 도쿄대의 경우 절대평가여서 일부학부는 실력이 모자라는 경우에는 유학생을 한 명도 뽑지 않는 경우도 많다. 실제로 법대의 경우 1차 서류전형에서 아예 한 명도 뽑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어떤 해는 서류전형에서 한 명 뽑은후 필기시험-> 논문까지 합격시켰다가 마지막 구술시험에서 떨어뜨린 적도 있다.또 예를 들어 법대의 경우 순수한 한국인 학부유학생으로 도교대 법대를 졸업한 사람은 지난 30년간 단 한 명 정도인 것으로 알고 있다. 이런 예는 미국의 하버드대학이나 ,예일대학 등 학부 유학생의 경우 대부분 동일하다.
다만 이공계의 경우에는 비교적 외국인 학부생을 많이 받는다. 그러나 이것도 거의 동남아시아에서 국비장학생으로 뽑혀서 오는 학생이 대부분이고 순수한 외국인 유학생은 몇 명 없다. 98년의 경우, 학부생으로는 법대에 한 명,경제학부에 한 명, 공대에 3명 한국인 학생이 있었다.물론 대학원에는 2백명 가까이 있다. 참고로 한국인 학부생은 거의 모두가 한국에서 서울대,연대등에 합격한 후 다시 1년을 공부해서 들어온 학생들이었다.연대경영학과에서 온 친구는 연대들어가자마자 다시 공부한 데다가 중학교때 교환학생으로 일본에서 1년간 살아서 일본어가 거의 완벽했던 친구이다.
물론 도쿄대,교토대를 제외한 나머지 일본의 대학은 그다지 까다롭지 않다. 한국에서 서울시내 대학에 들어갈 실력만 되고 일본어능력시험1급정도의 실력만 갖춘다면 와세다,게이오, 니혼대, 메이지대,아오야마학원대,중앙대,릿쿄대 등등 괜찬은 사립대에 충분히 들어갈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쿄대 법대정치학과는 도쿄대는 입학시 선택할 수 있는 학과는 문과1,2,3류/ 이과 1,2,3류로 들어간다. "도쿄대 법대입학"은 할 수 없다. 다만 문과1류에 입학한 학생이 1,2학년동안 정규학점을 다 이수하면 자동으로 법학부로 가는 것이다. 그러니까 도쿄대 법대를 졸업할 수는 있지만 동경대 법대에 입학할 수는 없는 것이다. 그리고 법대입학 후 사법,공법,정치 코스를 선택하게 되는데 실질적인 차이는 전혀 없고 다만 필수선택과목이 조금 다를 뿐이다. 예를 들어 사법코스는 가족법이 필수에 들어가고 정치코스는 국제정치학이 필수에 들어간다.
어쨌던 한국에서 공부한 사람이 도쿄대법대에 진학한 예는 1명을 제외하고는 거의 전무한 것으로 알고 있다.일제시대에도 전 내무부장관을 하셨던 장경근씨(1911년생)외에는 몇 분 계시지 않다.
결론적으로 도쿄대 입학을 위해서는 처음부터 일본인과 똑같이 센터시험(수능)을 치던가, 아니면 서울대합격가능한 내신과 실력에 + 10개월만에 사전없이 일본어로 소논문을쓸 수 있고 거의 완벽하게 일어회화가 가능할 정도이면 된다
도쿄대학 홈페이지 http://www.u-tokyo.ac.jp
'기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북핵은 남한을 위협할 수 없다 (0) | 2005.03.18 |
---|---|
친일매국노 사이비우파를 구제(驅除)하라! (0) | 2005.03.17 |
日,우익인물 미즈노씨에게 수업을 맡기다니? 가톨릭대는 무슨 생각? (0) | 2005.03.14 |
동양언어학원 (0) | 2005.03.14 |
"북, 수입 플루토늄과 대리 핵실험으로 핵무기 보유에 성공" (0) | 2005.03.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