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전세계 양심세력은 굳건히 연대하여

푸른하늘김 2005. 4. 29. 13:22

전세계 양심세력은 굳건히 연대하여

일본의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 진출을 반드시 저지한다

 


  우리는 오늘 과거 자국의 침략 역사를 명백히 왜곡 미화하여 또 다시 수십억 아시아 민중의 가슴에 크나큰 상처를 안겨주고 있는 일본의 역사의식과 과거 전범국으로서의 최소한의 책임조차 망각한 일련의 의도된 행태에 대해 분노를 넘어 참담함을 느끼지 않을 수 없다. 우리는 일본 내의 선량한 양심세력은 물론 아시아의 영구한 평화를 염원하는 전세계 양심세력과 힘차게 연대하여, 과거 피해 당사자인 아시아 민중의 역사와 인권의 이름으로, 파렴치한 일본의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 진출을 반대함은 물론 과거 전범국 일본이 저지른 씻을 수 없는 죄상을 전세계 민중에게 낱낱이 폭로하고, 반드시 저지할 것임을 천명한다.

  과거 일제 강점기 일본에 강제이주하여 억울하게 원폭에 피해당한 남과 북의 당사자와 그 원폭 피해 후손들에 대한 일본의 국가적 사죄와 배상 그리고 치료 문제, 일본의 강점시기 강제 징병되어 B,C급 전범으로 내몰린 이름없는 젊은 조선인들에 대한 일본의 국가적 사죄와 배상 문제, 강제로 징병되거나 강제 징용된 수백만 조선인에 대한 일본의 국가적 사죄와 배상 문제, 침략전쟁시기 강압적으로 일본군대의 공식 ‘위안부’로 끌려가 비참한 삶을 살아야 했던 수십만 명의 남과 북 그리고 아시아의 ‘위안부’ 여성에 대한 일본의 국가적 사죄와 배상 문제, 1938년 일본의 국가총동원령으로 강제징용된 15만명의 사할린한인에 대한 일본의 국가적 사죄와 배상 문제, 일본 강점시기 강제 징병되어 이국 땅에서 한스런 죽음을 맞이해야 했던 조선인 유해 미반환 문제 등 이루 헤아릴 수 없는 많은 역사! 적 상처와 해결의 과제가 오늘날 고스란히 남아있다.

  또한 1940년대 군용비행장 건설에 1,300여명이 강제 동원되어 배상은커녕 현재 최소한의 주거권조차 박탈당하고 있는 일본 교토부 우지시의 우토로 재일조선인에 대한 일본정부의 배상 문제, 1941년 강제이주되어 조선인 1,000여명이 살아온 공동체 토지를 이제와서 도쿄 행정당국이 빼앗으려는 ‘에다가와 조선학교’ 문제 등....그 역사적 현장에서 고통당한 당사자들이, 오늘날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 진출을 꿈꾸는 일본의 초라한 양심과 작태를 두 눈 시퍼렇게 부릅뜨고 지켜보고 있다.

  일본은 과거 침략 전쟁을 통해 수십억 아시아 민중의 가슴에 씻을 수 없는 고통과 역사적 상처를 남긴 명백한 전범국가다. 응당 전후 전범국가로서 마땅히 일본이 밟아야할 수순은, 과거 자신이 저지른 침략의 역사에 대한 명백한 사과와 반성, 국제규범이 정하는 바에 따른 전후 일본인 전범자의 처리, 침략을 통해 고통과 상처를 안겨준 아시아 국가와 민중에 대한 역사적 배상과 함께 가해자인 자국의 전범행위를 있는 그대로 역사교과서에 수록하여 자국의 선량한 민중들이 반면교사로 삼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었다.

  참으로 극명하게 비교되는 것은 과거 침략전쟁을 행했던 독일의 철저한 과거사 반성과 국가적 배상이다. 현재까지도 진행되고 있는 전세계 80여개국의 나치 피해자 및 희생자들에 대한 독일 국가의 공식 배상, 전쟁 중 기업의 강제노동 피해자에 대한 책임있는 배상, 독일 최고 책임자의 피해 당사국에 대한 끊임없는 반성과 공식사죄 등이 그것이다. 그러나 오늘날 일본의 현실은 어떠한가? 자국의 침략행위에 대한 반성과 피해 국가와 민중에 대한 배상은커녕, 침략의 역사를 왜곡 미화하며 중국 등 주변국의 극심한 반발을 초래하는 것이 일본의 현주소다. 또한 과거 침략전쟁에 강제 동원된 피해자 및 후손들의 최소한의 인권조차 외면하고 있는 것이 오늘날 일본의 양심이다.

  하여 우리는 오늘, 과거 전범국가 일본의 침략 행위로 고통받은 모든 아시아 민중의 이름으로, 일본내 양심세력은 물론 아시아의 영구한 평화를 갈망하는 전세계 양심세력과 연대하여, 일본의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 진출을 명백히 반대함은 물론, 과거 전범국 일본이 저지른 씻을 수 없는 죄상을 전세계 민중에게 낱낱이 폭로하고, 그 진출 기도를 끝까지 저지할 것임을 다시 한 번 천명하는 바이다.

 


2005년 4월 29일(금)

 


[국내] 국제민주연대, 동북아평화연대, 동아시아시민네트워크, 두레공동체운동동북아본부, 불교평화연대, 불교포럼, 이화여자대학교한국근현대사연구회민맥, 재외동포연대추진위원회, 재외한인학회, 재한조선족유학생네트워크, 전남대학교사회과학원세계한상문화연구단, 중국동포의집․외국인노동자의집, 중국동포타운신문, 중국동포현안문제대책위원회, 충북참여자치연대, 태백문화연구소, 평화시민연대, 한국교회인권센터,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인권위원회, 한국기독교사회문제연구원, 한국민족예술인총연합태백지부, 한민족평화선교연구소, 한일민족문제학회, 해외교포문제연구소, 흥사단, KIN(지구촌동포청년연대), KYC(한국청년연합회) (이상 가나다 순, 한영 순 26개 단체)

[국외 5개국] <독일> 한독문화협회, 한민족유럽연대 <미국> 재외한민족센터, 통일맞이나성포럼 <영국> 재영한인시민연대 <일본> 무순의기적을이어받는모임큐슈지부, 북큐슈학교유니온우이, 재일코리안청년연합, 조선사연구회새벽Action, 인터넷저널‘원코리아’, 초핀치!후쿠오카, 한국문제연구소, 한민족문제연구소, 후쿠오카지구합동노동조합, 학교현장에마음에자유를추구하며‘기미가요’강제를묻는재판=북큐슈고코로재판원고단, <중국> 중국연변녹색연합회, 중국연변동북아문화연구원, 중국장춘시조선족과학기술자협회, 중국장춘한국학연구소, 중국조선족상조회 (이상 국가별, 단체별 가나다 순 20개 단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