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영주시가 최근 6년간 경북전문대 인근 학사 골목을 활성화하기 위해 예산 수십 억원을 쏟아부었지만, 활성화는 요원한 상태라는 지적이 나온다.
경북 영주시가 최근 6년간 경북전문대 인근 학사 골목을 활성화하기 위해 예산 수십 억원을 쏟아부었지만, 활성화는 요원한 상태라는 지적이 나온다.
더욱이 각종 지원 사업 추진과정에서 온갖 부정과 편법으로 얼룩졌다는 의혹까지 제기되면서 실질적 혜택을 받아야 할 기존 상인들과 주민들의 피해와 불만의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영주 학사 골목은 1980년대 '젊음의 거리'로 불릴 만큼 대학의 배후상권으로 주목받았다. 저녁이면 학생들과 젊은 직장인들로 인산인해를 이뤘다. 하지만 본지 취재결과, 학사골목은 학생 수가 꾸준히 감소한 데다 상권이 가흥택지 주변으로 이동하면서 유동인구를 찾아보기 어려울 만큼 침체됐다.
이에 행정안전부와 국토교통부의 대규모 국비 사업을 비롯해 경북도의 청년창업 지원사업 등 각종 부양 정책들이 쏟아졌다. 대표적 사업이 '주민주도형 골목 경제 활성화 사업'과 '청년시장 학사골목 사업'이다. 여기에 투입된 예산만 20억원에 달한다.
출발은 순조로웠다. 주민·상인·전문가로 구성된 골목 경제 협의체가 주도해 공간 재창조에 나섰다. 상인과 건물주가 고통 분담 차원에서 개소 후 5년간 건물 임대료를 동결하기로 했다. 지역관광 거점으로 만들기 위해 도보 15분 거리의 영주역과 연계한 'Y센터'도 지었다. 동양대 산학협력단과 청년창업센터를 조성해 젊은 창업자를 대상으로 하는 인큐베이팅 사업도 전개했다.
하지만 청년창업센터는 개소한 지 채 1년도 되지 않아 문을 닫았다. 최근에서야 영주문화관광재단이 이를 맡아 내년부터 본격 운영할 예정이다. 'Y센터'도 코로나19로 인해 여행객 발길이 뜸해졌다. 현재는 예약 시스템조차 가동되지 않은 탓에 운영이 잠정 중단된 상태다.
인근 상인들과 임대인들 사이에선 여러 가지 불만의 목소리와 함께 각종 의혹도 제기됐다.
한 상인 A 씨는 "5년간 건물 임대료까지 동결하면서 희생했지만 여전히 골목 상권은 얼어 붙었다"면서 "대규모 예산이 투입됐다고는 도저히 믿어지지 않을 만큼 사업을 제대로 추진했는지에 대한 의문이 든다"고 말했다.
또 다른 상인 B씨는 "신규 창업자들에게 지원됐던 각종 지원 사업들은 기존 상인과 주민들에게 '그림의 떡'이었다"면서 "신규 창업자 가운데 한 명은 편법을 써가면서 여러 가지 지원 사업들을 중복해서 지원받은 것을 무용담처럼 이야기하고 다닌다"고 한숨을 쉬었다. 그러면서 "그 지원금의 일부를 다른 용도로 사용하기 위해 유용했다는 이야기까지 나돈다"고 했다.
이에 대해 영주시 관계자는 "한 업체에 중복으로 비슷한 사업을 지원한 사례도 없고, 유용이라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며 선을 그었다.